축구공의 구조 Structure Of Soccer Ball
낫소 투지 FA의 세계최초 4패널 신기술
-
- Windmill Technology
- 낫소 투지 FA만의 Windmill Technology 기술이 공기 저항을 최소화 하여 원하는 곳에
정확한 패스와 슛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 THB(Thermo-Bonded ball) 접착구
- 낫소의 THB 접착구 제작 기술이 진구와 가장 가까운 상태로 오랜 시간의 강력한 플레이를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제로(0)에 가까운 수분 흡수율은 어떠한 날씨에도 최상의 경기력을 가능하게 합니다.
-
- 낫소 40여년의 기술과 노하우
- 투지 FA에는 1971년에 설립한 토종 스포츠 브랜드 낫소의 오랜 기술과 노하우가 스며들어 있습니다.

투지 FA의 신 소재
- 축구공 외피
- 낫소 4 패널 투지 FA 축구공의 외피는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인조피혁 전문업체인 대한민국의 D사와 낫소의 공동 연구를 통하여
개발되었습니다. 최고급 High-end 원단을 사용하여 일반축구공의 외피보다 부드러우면서도 공의 변형을 방지합니다.
또한 축구공 겉표면에 70,000 여개의 돌기를 첨가하여 최고의 비행성능을 제공합니다.
- 축구공 내부 소재
- 1. EVA FOAM : High rebound EVA Foam 사용으로 어느 축구공에서도 느낄 수 없는 최상의 부드러움과 동급 최강의 리바운드 성능을 제공합니다.
- 2. Special High Density Polyester : 최상급 독일산 원단을 사용하여 축구공의 뒤틀림을 방지해주고 내구성을 향상 시킵니다.
- 3. Special Butyl Bladder :
특수 부틸 고무로 이루어져 있는 블래더는 완벽한 구의 형태를 유지시켜주고 공기 보존 특성이 매우 뛰어납니다.
또한 특수 카본 보강재를 첨가하여 UV 광선과 산화 작용으로부터 축구공을 보호합니다.
낫소 축구공만의 앞선 기술 공법과 최상의 테크놀러지
HIGH TECHNOLOGY NASSAU SOCCER BALL

FA CUP 공식사용구
축구공은 공의 가장 안쪽 부분에 브레더(Bladder), 보강제로 중간부위에
언더지(Backing Cloth), 고탄성 PU레더를 외피로 구성된다.
-
- 브레더 Bladder
- 브레더의 종류는 라텍스 브레더와 부틸 브레더가 있으며 라텍스는 남미와 유러, 부틸 드레더는 주로 아시아권에서 사용됩니다.
특히 한국에서는 부틸 브레더를 사용하였으나 점차 라텍스 브레더로 바뀌는 추세입니다.
- 특징(Characteristic)
- 라텍스 :
천연고무의 특성으로 바운드, 탄력 등이 우수합니다. 천연고무의 특성상 자연적인 공기투과성에 민감하여 일정기간이 지나서는
바람이 조금씩 빠지는 현상이 있는데 이는 이상이 아니며, 경기시에 공기를 재주입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우수한 탄성으로 각종 경기
시합구 및 월드컵 시합구에는 라텍스 브레더가 주로 사용되어집니다. - 부틸 :
주된 고무의 원료가 합성고무로 공기투과성이 적은 특징을 가지고 있어 바람을 한번 주입하면 5, 6개월 이상 바람의 소모가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바운드나 탄력, 감각 면에서는 라텍스보다 떨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언더지 구성 Structure Of Backing Cloth
- Strong Backing Layer
- 2겹의 독일산 원단으로 안정적인 공의 원형유지 및 내구성 유지를 한층 업그레이드 시킨 보강층.
- Hyper Elastic Layer
- 낫소 기술의 정화로 특수 개발된 천연 Latex Sheet가 제품의 탄성을 극대화 하면서도 제품의 형상 복원력을 강화하는 보강층.
- Kinetic Energy Conservable Layer
- 내구성과 반발탄성이 높은 닫힌 셀구조의 High Elastic PE Foam을 적용하여 제품의 쿠션감을 높이면서도
탄성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주는 보강층.
- Long Life Backing Layer
- 고밀도 Polyester 원단을 이용하여 오랜 시간 공의 뒤틀림을 최소화 시킨 보강층.
- Surface Material
- 세계 제일의 인조피혁 전문업체와의 공동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제품으로 천연가죽보다 부드러운 Ultra Micro Nylon Fiber 원단을
사용하여 공의 변형이 적고, 부드러우며 원단의 표면 무늬가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여 볼의 정확한 커트롤과 비행거리를
한층 업그레이드 시킨 수입산 피혁.
-
- 외피 LEATHER
- 유연하며 탄력있는 고무로 몸체를 형성합니다. 농구공의 뼈대라고 보시면 됩니다.
- PVC 소재
- 외부의 온도에 예민한 소재로 여름등 온도가 높은 계절의 사용시 유연하여 사용에 무리가 없으나 겨울철등 낮은 온도에서는
공의 표면이 딱딱해져 볼을 다루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주로 중, 저가용 제품에 적용됩니다.
- PU 소재
- 낫소폴리우레탄을 가공한 소재로서, 탄력과 내ㅏ모성(닳지 않는 정도)이 뛰어나며, 겨울철등에도 PVC에 비해 유연성을
유지 할 수 있는 소재입니다. 주로 중, 고가의 제품에 적용됩니다.
축구공의 제작
세계 축구공(완구용 제외)의 대부분은 기계가 아닌 순수 사람의 손으로 만들어집니다.
축구공을 이루는 판넬(조각)은 12조각, 18조각,26조각, 32조각, 48조각 등 많으나 현재는 5각형 12조각과 6각형 20조각으로 된 32조각을 주로
많이 사용합니다. 32조각을 사람의 손으로 직접 꿰매게 되는데 여기에 들어가는 바느질의 수는 정확하게 1620회의 손놀림이 요구됩니다.
보통 기술자들은 하루에 두 개정도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창기의 한국 제품의 축구공은 교도소 등에서 임가공으로 만들어졌으며
현재는주로 인도네시아, 중국, 파키스탄 등에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공기 주입방법
공기주입시 바늘 끝에 비눗물로 적셔 밸브에 끼우면 튜브의 손상을 막고 오래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기압을 측정하여 최적 압력(0.6 ~ 0.7㎏/㎠)으로 조절하여 사용하십시요. 만일 공 기압 측정기(압력게이지)가 없을 때는 약간의 힘으로
두손의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축구공을 눌렀을 경우 약간의 유격이 생기는 정도 또는, 2M지점에서 밑으로 낙하(떨어 뜨렸을 경우)
약 120 ~ 130cm정도 튀어 오르면 적당한 공기압 입니다. 더 자세히 말씀드리면 성인이(키 차이에 따라 다르겠지만) 팔을 들어 아래로 공을 떨어 뜨렸을 경우 가슴 정도까지 공이 튀어 오르면 공기를 적당히 주입하신 것입니다. 펌프를 이용하여 공에 공기를 주입하시고 장기적인 보관을 제외하고는 일부러 공기를 빼실 필요는 없습니다. 공기를 과다하게 넣었을 경우 바람을 빼는 방법은 에어 펌프에서 분리하여
니들(바늘)만 공기 주입구에 끼워 넣으면 바람이 빠집니다.
테니스공의 구조 Structure Of Tennins Ball
낫소 테니스공만의 앞선 기술 공법과 최상의 테크놀러지
HIGH TECHNOLOGY NASSAU TENNIS BALL

반구(Half Shell) + 반구(Half Shell) = 속공(Core) + 겉피(Felt) = 테니스공
-
- 반구 Half Shell
- 고무편 = 고무 + 각종 화학약품 {가황제, 촉진제, 충진제, 활성제, 유연제, 노화방지제}
고무편을 반구금형에 투입해 150℃에서 분간 가황
-
- 속공 Core
- 속공(Core) = 반구 + 반구
-
- 유압구 : 가스가 들어가 있는 공 Pressurized Ball
- 가스가 들어가 있는 공으로써, 고무 코아 자체 안에 가스를 주입하여 경기 하기에 최적의 상태인 10~11PSI으로 공기압을 유지시켜
제작된 공입니다. 바운드나 탄성(물성)이 우수하여 경기용으로 많이 사용되어집니다. 내부의 가스의 빠짐을 차단하기 위하여
CAN(PET 또는 알루미늄)에 밀봉 처리됩니다.
-
- 무압구 : 가스가 들어가 있지 않은 공 Pressureless Ball
- 유압구와 같이 내부가스로 탄성(물성)을 유지 하는 것이 아닌 고무 자체의 고반발 탄성을 이용하여 만든 볼입니다.
내부에 가스가 없으므로 바람이 빠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시간이 경과하여도 탄성(물성)에 변화가
없습니다. 초보자(연습용)나 레슨용으로 장기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테니스 공의 재료
Materials Of a Tennis Ball
- 천연고무 (Natural Rubber)
- 고무나무에서 나오는 수액을 건조 및 가공한 원료로 고무 공의 기본 탄성 및 터치를 결정합니다.
- 펠트 (FELT)
- Woven Felt :
울(Wool)과 나일론(Nylon)을 혼방하여 만든 실을 경사, 위사의 교합으로 제작한 균일한 직물 조직을 만든 FELT로 부드럽고
탄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빠른 속도감이 있습니다. 촉감과 타구감이 좋고, 바운드가 일정하며 하드(Hard)코트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촉감이 Hard하고 Speed 및 Power가 강하며 공격적인 타입입니다. - Needle Felt :
울(Wool)과 나일론(Nylon)을 주 원료로 부직포 형태의 조직으로 만든 FELT입니다. 클레이(Clay) 코트에서 우수한 기능을 발휘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주로 클레이(Clay : 맨땅) 코트로 이루어져 있어 Needle Felt로 된 테니스공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고무 자체가 기후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그 나라의 기후 및 특색에 맞게 이루어진 테니스볼을 사용 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배구공의 구조 Structure Of Volley Ball
낫소 배구공만의 앞선 기술 공법과 최상의 테크놀러지
HIGH TECHNOLOGY NASSAU VOLLEY BALL

일반적으로 브레더 위에 실을 사용하여 권취(Winding)하여 만든 것과, 브레더 위에 천을 붙여 만는 것으로 나눌 수 있고,
한편으로는 외부에 붙이는 재료의 종류(천연피혁, PU, PVC 등)에 따라서 구분하기도 합니다.
제품 특징
- 부틸 브레더 (Butyl Rubber Bladder)
- 고무나무에서 나오는 수액을 건조 및 가공한 원료로 고무 공의 기본 탄성 및 터치를 결정합니다.
- 와인딩 (Winding)
- 1500 ~ 2000mm의 실을 권취(Winding)하거나 부드러운 터치를 위해 특별히 만든 천을 접착하여 사용중에 볼의 변형을 방지 합니다.
- 레더 커버(Leather Cover)
- 소프트하며 탄성을 가진 레더(가죽 또는 합성피혁)로 형성해 탄력성과 컨트롤이 우수합니다.
농구공의 구조 Structure Of Baslet Ball
낫소 농구공만의 앞선 기술 공법과 최상의 테크놀러지
HIGH TECHNOLOGY NASSAU BASKET BALL

-
- 부틸 브레더 Butyl Rubber Bladder
- 100% 부틸고무로서 장기간 내부압을 유지할 수 있는 특성이 있습니다.
-
- 와인딩 Winding
- 2500 ~ 3000mm의 실을 권취(감아서)하여 사용 중에 볼의 변형을 방지합니다.
-
- 러버 시트 Rubber Sheet
- 유연하며 탄력있는 고무로 몸체를 형성합니다. 농구공의 뼈대라고 보시면 됩니다.
농구공의 구성
일반적으로 농구공은 구조면에서 2가지로 구분됩니다. 첫번째는 시합구 및 동호인용으로 많이 사용되어지는
접착구이며, 두번째는 전시용 및 저가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고무공입니다.
- 접착구
- 가장 안쪽에는 바람이 들어오도록 만들어진 브레더가 있고 그 위에 다양한 실(Nylon)을 사용하여 권취(Winding)를 합니다.
다음 고무를 한층 입히게 되는데 여기까지를 흔히 카카스(Carcass)라고 부르게 됩니다.
- 고무공
- 가장 안쪽에는 접착구와 같이 브레더가 있으며 그 위에 실을 권취(Winding)하고 가장 바깥쪽에 고무를 붙이면서
여러가지 그림을 넣게 됩니다. 접착구와 다르게 카카스(Carcass)자체가 고무공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농구공의 종류
- 천연피혁 (Full Grain Leather)
- 외피가 천연가죽으로 프로 및 전문 시합구에 많이 사용되며 실내용입니다.
- 인공피혁 (PU)
- 외피가 인조가죽으로 대부분 동호인용이나 시합구등으로 많이 사용되며 내외 겸용 입니다.
- 합성피혁 (PVP)
- 외피가 합성피혁으로 주로 저가형이며 실내외 겸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 인조고무
- 외피가 인조고무로 전시용 및 저가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